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알바 세금, 얼마나 뗄까? 단시간 근로자와 프리랜서 차이 쉽게 정리

by 돈 많은 곰돌이정 2025. 2. 22.
반응형

알바 세금, 얼마나 떼일까? 단시간 근로자 & 프리랜서 비교 분석

1. 알바 세금, 얼마나 떼일까? (단시간 근로자 vs. 프리랜서)

처음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면 세금 문제로 고민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내가 번 돈에서 세금이 얼마나 빠져나갈까?"

특히 **단시간 근로자와 프리랜서(3.3% 원천징수)**의 세금 차이가 크기 때문에, 본인의 근무 형태에 맞춰 정확한 정보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시간 근로자와 프리랜서의 세금 차이, 4대 보험 가입 여부, 실수령액을 비교 분석하여 최대한 세금을 아끼면서도 합법적으로 소득을 챙길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2. 단시간 근로자, 세금 얼마나 내야 할까?

✅ 단시간 근로자란?

단시간 근로자는 주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근로자를 의미합니다. 즉, 일주일에 14시간 이하로 일한다면 세금이 거의 부과되지 않습니다.

✅ 단시간 근로자 세금 면제 기준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세금이 거의 부과되지 않습니다.

  • 주 15시간 미만 근무 (월 60시간 미만)
  • 근로계약서상 단시간 근로자로 명시
  • 소득세, 국민연금, 고용보험 면제 대상

💡 즉, 주 5시간 근무하는 경우 세금이 0원입니다.

하지만, 고용보험은 사업장 정책에 따라 가입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3. 프리랜서(3.3%) 세금 계산법

✅ 프리랜서 세금은 무조건 3.3% 원천징수

단시간 근로자와 달리, 프리랜서로 계약할 경우 **소득세 3% + 지방소득세 0.3% = 총 3.3%**가 공제됩니다.

  • 프리랜서는 사업소득자로 간주되며, 근무 시간과 관계없이 지급받는 금액에서 3.3%가 원천징수됨
  • 4대 보험 가입 대상이 아니므로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의 부담이 없음
  • 연말정산이 아닌 종합소득세 신고를 별도로 해야 함

✅ 실수령액 계산 예시

지급액(원) 공제 세금(3.3%) 실수령액(원)

500,000 16,500 483,500
1,000,000 33,000 967,000
2,000,000 66,000 1,934,000

따라서, 프리랜서로 100만 원을 받는다면, 실제로는 967,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4. 4대 보험 부담액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 4대 보험 가입 기준

근무 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가입 대상이 됩니다.

💡 미성년자는 국민연금 가입이 면제될 수도 있지만, 건강보험, 고용보험은 가입됩니다.


✅ 4대 보험 부담액 계산

4대 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장이 반반 부담하며, 총 **급여의 약 9%**가 공제됩니다.

예를 들어 월급 100만 원이라면:

  • 국민연금: 4.5% (45,000원)
  • 건강보험: 3.545% (35,450원)
  • 고용보험: 0.9% (9,000원)
  • 산재보험: 사업장 부담 (근로자 부담 없음)

💡 총 공제액 89,450원 → 실수령액 910,550원


5. 많이 하는 질문 (FAQ)

Q1. 단시간 근로자는 연말정산이 필요한가요?

A. 아니요, 필요 없습니다. 세금이 원천징수되지 않기 때문에 연말정산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됩니다.

Q2. 프리랜서로 일하면 4대 보험 가입이 가능한가요?

A. 아니요, 프리랜서는 사업소득자로 간주되므로 4대 보험 가입 대상이 아닙니다.

Q3. 단시간 근로자도 급여 명세서를 받을 수 있나요?

A. 네, 사업장은 급여 명세서를 제공해야 합니다. 단시간 근로자도 근로기준법에 따라 급여 명세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Q4. 미성년자는 세금이 면제되나요?

A. 아닙니다. 미성년자도 근로 형태에 따라 세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 4대 보험 중 국민연금은 면제될 수 있습니다.

Q5. 단시간 근로자로 일하면서 프리랜서 소득도 있다면?

A. 두 가지 소득을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무 신고 시 주의해야 합니다.

3줄 요약

  • 주 15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는 세금이 거의 부과되지 않음.
  • 프리랜서는 3.3% 원천징수되며, 4대 보험 가입 대상이 아님.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4대 보험 가입 및 공제 적용됨.

 

반응형